들어가며

IRP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개인형퇴직 연금제도는 근로자가 직장을 옮기거나 퇴직하면서 지급받은 퇴직급여를 한 계좌로 모아 퇴직이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퇴직 연금 전용 계좌이다.

연금저축 펀드와 달리 IRP에서는 운용상품 구성에 제약사항이 걸려있다. 위험자산 (ex.주식형 자산)은 최대 70%만 투자가 가능해서 나머지 30%는 안전자산으로 채워야 한다. 즉 전체적으로 밸런스 있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라는 취지가 담겨 있다.

미래에셋증권에서는 MY 자산 > 계좌 > 퇴직연금_개인IRP 선택을 하면 아래와 같이 현재 위험자산 투자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70%가 넘는 경우에는 위험자산인 주식형 ETF를 매수할 수가 없게 된다.

계좌현황
계좌현황

안전자산 종류

IRP 계좌에서 어떤 종류의 안전자산을 채울 수 있는 알아보자.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어서 투자자 성향에 따라서 선택해야 한다. 안전자산도 높은 수익률을 얻기 위한 ETF도 있고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싶은 경우에 맞는 ETF도 제공을 한다.

  •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싶은 경우

    • 금리형
    • 중단기 채권형
    • 만기채권형
    • 자산배분형
  • 공격적으로 운용하고 싶은 경우

    • 채권혼합형
    • 싱글스탁 채권혼합형
    • 장기채권형

1.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싶은 경우

1.1 금리형 (파깅형)

티커 종목명 시가총액 편드보수
471290 HANARO CD금리액티브(합성) 112억원 연 0.020%
453060 HANARO KOFR금리액티브(합성) 124억원 연 0.050%
458210 히어로즈 CD금리액티브(합성) 608억원 연 0.030%
453010 ARIRANG KOFR금리 1,813억원 연 0.050%
423160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 4조 6,050억원 연 0.050%
449170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5조 880억원 연 0.030%
459580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7조 65억원 연 0.020%
357870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7조 2,791거원 연 0.030%

현재 상장된 금리형 ETF (2024.02.18 기준)

금리형 ETF 특징

  •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 등 초단기 채권의 금리를 일할 계산해 매일 복리로 반영하는 상품이다

    • CD 금리란? 은행이 단기자금 조달 시 발행하는 양도성예금증서(CD)의 수익률이다

      • 양도성예금증서란? 은행이 예금을 맡았다는 것을 인정하는 증서이며 누구에게나 양도가 가능한다 (은행이 돈을 빌리고 쓴 차용증 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 CD 만기는 통상 91일몰(3개월)이며 매우 안전하다고 여겨지지만 여전히 국채보다는 위험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국채보다는 높은 수준에 금리가 형성된다
    •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란?

      • 기관들간의 환매조건부채권(RP) 실거래를 기반으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산출한 금리이다
      • 익일물 국채·통화안정채권(통안채)를 담보로 하는 만큼 이름 그대로 무위험 투자에서 기대할 수 있는 수익률을 제공한다
      • 하루짜리이기 때문에 만기가 91일인 CD금리보다 안정적이지만, 기대수익률은 낮다
  • 금리가 마이너스로 가지 않는 한 손실 발생 가능성이 매우 적은 ETF로 적립금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FAQ

  1. 금리형 ETF는 모두 안전한가?

    • 현재 시장에 상장된 금리형ETF 펀드 가운데 특별자산형ETF채권혼합형ETF 있다
    • 채권혼합형 ETF (안전자산): DC형, IRP에 100% 투자 가능

      • ex. TIGER 1년 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
    • 특별자산형 ETF (위험자산): DC형, IRP에 70% 투자 가능

      • ex.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2. IRP에서 투자 가능한 예금 vs 금리형 ETF

    • 예금과 달리 중도 환매가 자유롭다

      • 예금은 만기 전 환매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금리형 ETF는 매도 후에 현금화를 하는 것이니 호가 스프레드 외에는 별도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다
    • 예금은 첫 거래, 급여연동, 공과금 연동, 카드 사용, 앱 사용 등으로 우대조건이 있지만, 금리형 ETF에는 우대조건은 없다
    • 예금은 금리가 높을 수록 한도가 작지만, 금리형 ETF는 한도가 없다

참고

1.2 중단기 채권형

티커 종목명 시가총액 편드보수
114820 TIGER 국채3년 591억원 연 0.150%
438330 TIGER 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 1,314억원 연 0.100%
365780 ACE 국고채10년 2,058억원 연 0.020%
451540 TIGER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3,037억원 연 0.030%
302190 TIGER 중장기국채 3,026억원 연 0.150%
114260 KODEX 국고채3년 3,870억원 연 0.150%
461460 ARIRANG 국고채10년액티브 5,007억원 연 0.045%
148070 KOSEF 국고채10년 4,992억원 연 0.050%
385540 KBSTAR 종합채권(A-이상)액티브 1조 2,154억원 연 0.012%
273130 KODEX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2조 8,304억원 연 0.045%

현재 상장된 금리형 ETF (2024.02.18 기준)

중단기 채권형 ETF 특징

  • 잔존 만기 10년 이하의 채권 편입하여 변동성이 낮아 안정적인 상품이다
  • 금리 하락시 채권 가격이 올라가니 자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참고

1.3 만기채권형

티커 종목명 시가총액 편드보수
448600 KBSTAR 25-11 회사채(AA-이상)액티브 1,412억원 연 0.070%
448880 ACE 24-12 회사채(AA-이상)액티브 1,691억원 연 0.050%
469820 SOL 24-12 회사채(AA-이상)액티브 2,029억원 연 0.050%
464230 히어로즈 24-09 회사채(AA-이상)액티브 1,846억원 연 0.050%
464540 KBSTAR 25-03 회사채(AA-이상)액티브 2,072억원 연 0.050%
467940 KODEX 25-11 회사채(A+이상)액티브 3,370억원 연 0.090%
453530 TIGER 24-04 회사채(A+이상)액티브 7,690억원 연 0.100%
470260 TIGER 24-12 금융채(AA-이상) 6,025억원 연 0.100%
453540 TIGER 25-10 회사채(A+이상)액티브 5,197억원 연 0.100%
447820 TIGER 24-10 회사채(A+이상)액티브 6,809억원 연 0.100%
465680 KODEX 24-12 은행채(AA+이상)액티브 2조 6,995억원 연 0.050%

현재 상장된 금리형 ETF (2024.02.18 기준)

만기채권형 ETF 특징

  • 만기가 지정된 채권형 ETF이다
  • ETF 매수 후 만기까지 보유 시 개별 종목 채권에 투자한 것과 마찬가지로 투자 시점의 만기수익률과 근접한 수중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1.4 자산배분형

티커 종목명 시가총액 편드보수
433880 ARIRANG TDF2060액티브 26억원 연 0.200%
433870 ARIRANG TDF2050액티브 21억원 연 0.180%
433860 ARIRANG TDF2040액티브 24억원 연 0.160%
433850 ARIRANG TDF2030액티브 22억원 연 0.140%
435550 히어로즈 TDF2050액티브 67억원 연 0.380%
435540 히어로즈 TDF2040액티브 61억원 연 0.340%
435530 히어로즈 TDF2030액티브 58억원 연 0.300%
440340 TIGER 글로벌멀티에셋TIF액티브 273억원 연 0.550%
329650 KODEX TRF3070 1,516억원 연 0.240%

현재 상장된 금리형 ETF (2024.02.18 기준)

  • 채권을 중심 (약 70%)으로 다양한 자산군을 혼합해 변동성을 낮춘 포트폴리오를 운영한다
  • 시장 상승기에 안정적인 수익률 창출 목적으로 운용되는 상품이다

2. 공격적으로 운용하고 싶은 경우

2.1 채권혼합형

티커 종목명 시가총액 편드보수
238670 ARIRANG 스마트베타Quality채권혼합 43억원 연 0.200%
237440 TIGER 경기방어채권혼합 73억원 연 0.180%
251600 ARIRANG 고배당주채권혼합 154억원 연 0.200%
448630 KBSTAR 삼성그룹Top3채권혼합블룸버그 160억원 연 0.200%
472170 TIGER 미국테크TOP10채권혼합 312억원 연 0.250%
237370 KODEX 배당성장채권혼합 226억원 연 0.190%
438080 ACE 미국S&P500채권혼합액티브 308억원 연 0.150%
447620 SOL 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 364억원 연 0.250%
435420 TIGER 미국나스닥100TR채권혼합Fn 469억원 연 0.250%

현재 상장된 금리형 ETF (2024.02.18 기준)

채권혼합형 ETF 특징

  • 일반적으로 주식 비중 30~40%, 채권 비중 60~70% 정도의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 2023년 11월부터 채권혼합형 ETF의 주식 편입 한도가 40 → 50%로 상향되었다

      • ex. TIGER 미국테크TOP10채권혼합 (재도 변경후 상장됨)
    • 현재 대부분의 채권혼합형 ETF는 한도 상향 전에 상장된 것들이라 주식 비중이 30% 내외다

참고

2.2 싱글스탁 채권혼합형

티커 종목명 시가총액 편드보수
447660 ARIRANG Apple채권혼합Fn 122억원 연 0.250%
448330 KODEX 삼성전자채권혼합Wise 397억원 연 0.070%
448540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 744억원 연 0.070%
447770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1,032억원 연 0.250%

현재 상장된 금리형 ETF (2024.02.18 기준)

싱글스탁 채권혼합형 ETF 특징

  • 1개의 주식 종목 (약 30%)과 국채등 우량 채권 (약 70%)으로 구성되어 있는 ETF이다

2.3 장기채권형

티커 종목명 시가총액 편드보수
474390 SOL 국고채30년액티브 97억원 연 0.050%
267440 KBSTAR 미국장기국채선물(H) 136억원 연 0.400%
464470 ARIRANG 미국채30년액티브 284억원 연 0.150%
451530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 1,454억원 연 0.150%
304660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3,081억원 연 0.300%
114260 KODEX 국고채3년 3,888억원 연 0.150%
439870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 2,946억원 연 0.050%
451600 ARIRANG 국고채30년액티브 1,972억원 연 0.050%
385560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3,646억원 연 0.050%
453850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8.210억원 연 0.050%

현재 상장된 금리형 ETF (2024.02.18 기준)

장기채권형 ETF 특징

  • 잔존 만기 30년 물 채권을 편입해, 주식 수준으로 큰 변동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 듀레이션(만기)이 길수록 채권 가격의 변동성이 커지므로 큰 변동성이 생긴다
  • 금리 인하 시기에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FAQ

  1. 채권형 ETF은 모두 안전자산으로 봐도 되나?

    • 그렇지 않다. 채권형 ETF는 기본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증권사별로 기준이 조금씩 다르다.
    • ex. TIGER 미국채30년스크립엑티브 100%까지 편입할 수 있지만, 다른 증권사는 70%까지만 가능하다
  2.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ETF는 원금보장이 되는 건가?

    • ETF는 금융상품이라서 원금 보장이 안될 수 있다

마무리

  • 안정적인 투자 향

    • 금리형

      • 금리가 높게 유지될 때 사면 좋다
    • 중단기 채권형

      • 금리 하락시 채권 가격이 올라가서 금리가 내려가면 사는 게 좋다
    • 만기채권형

      • 만기가 지정된 ETF이다
    • 자산배분형

      • 자체적으로 이미 자산배분을 한 ETF이다. 아직 시가총액이 낮은 편이다
  • 공격적인 투자 성향

    • 채권혼합형

      • 주식/채권 비중이 30~40%, 60~70%으로 나눠져 있다
    • 싱글스탁 채권혼합형

      • 하나의 주식 종목이랑 우량 채권으로 나눠져 있다
    • 장기채권형

      • 금리 인하 시기에 높은 수익률 기대 가능하다

FAQ

  1. IRP의 안전자산 30%도 금리변동에 따라 리밸런싱이 필요한가?
  2. 기준 금리가 높게 유지되는 경우

    • 단기 금리를 추종하는 금리형 ETF를 편입하여 긴축통화정책에서 발생하는 높은 단기 수익률을 확보할 수 있다
  3. 기준 금리가 내려가는 경우

    • 주식형, 주식이 포함된 채권혼합형, 장기채권형 ETF에 대한 투자 비중을 높이면 좋다

      • 주식, 장기채권 가격이 크게 오룰 수 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ETF는 유형별로 구글 드라이브에 정리해두었다.

google1
google1

나의 IRP 종목

현재 보유하고 있는 ETF (2024.02.18 기준)

나의 위험자산은 너무 다양한 ETF로 구성되어 있어서 정리가 필요할 듯하다. 일단 테마주는 수익이 나면 매도하고 미국관련 ETF의 비중을 늘리는 게 좋겠다. 안전자산은 거의 투자를 하지 않아서 오늘 스터디한 종목 중에서 시가총액이 높고 운용보수가 적은 것을 선택해서 추가 매매할 계획이다.

  • 위험자산 (58%)

    • 맥쿼리인프라
    • ACE 미국S&P500
    • HANARO 글로벌럭셔리S&P(합성) ← 이건 수익이 어느 정도 나면 매도하자
    • KBSTAR 미국나스닥100
    • KBSTAR 미국S&P500
    • KODEX 미국반도체MV
    • KODEX 배당가치
    • KOSEF 200TR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 TIGER 2차전지테마 ← 테마주 형태의 ETF 대신에 미국 관련주를 사는게 낫을 듯하다

      • 줍줍은 조금씩 하되 나중에는 팔자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 TIGER 미국나스닥100TR(H)
    •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
    •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 TIGER 미국S&P500TR(H)
    • TIGER 반도체
  • 안전자산 (4%)

    • KODEX 단기채권
    • KODEX 단기채권PLUS
  • 현금 자산 (39%)

    • 디폴트옵션으로 지정됨

참고

@Frank Oh
안녕하세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 스터디하면서 배운 것들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