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여러 계좌에서 여러 주식을 매수하다 보면, 내가 얼마나 매수했는지 감이 오지 않을 때가 있다. 사람마다 투자 스타일이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구체적인 매매 전략을 세우고 정확한 투자 금액을 정하지 않는 편이다. 또한, 한 번에 모든 주식을 사지 않고 분할 매수를 하며 가격이 더 내려간 주식을 추가로 매수하다 보니 시간이 지나면 내가 얼마나 매수했는지 알기 어렵다.

저와 비슷한 스타일로 매수하는 분들에게 오늘 포스팅하는 내용이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매달 내가 매수한 금액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2. 월별 투자 금액 확인하는 방법

2.1 HTS 에서 확인하는 방법

HTS에서는 국내주식은 0616 주식 월별손익현황로 확인이 가능하다. 월별로 내가 매수, 매도한 금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매매 수수료도 확인 가능하다.

국내주식 - 기간종목별 매매일지
국내주식 - 기간종목별 매매일지

해외 손익현황은 해외 매매일지, 9438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외주식 - 매매일지
해외주식 - 매매일지

2.2 구글 시트에서 피봇 테이블 만드는 방법

다른 방법으로는 직접 수동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매매 내역을 구글 시트로 관리하고 있다. 번거로운 작업이지만, 이렇게 하는 이유는 구글 시트 내에서 관심 종목을 만들고 매수 및 매도 종목을 정리하면서 내 주식에 관심을 더 가지기 위해서다. 또한 부족한 부분을 스터디하는 목적도 크다.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하고 있다.

매매일지를 아래와 같이 구글 시트에서 작성하고 있다면, 피봇 테이블을 이용해 매월 어떤 종목을 매수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메뉴에서 삽입 > 피봇 테이블 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피봇 테이블 만들기 창이 뜬다. 새 시트로 생성한다.

피봇테이블 생성
피봇테이블 생성

피봇 테이블 편집기에서 행에는 일자를 추가하고 열은 종목, 그리고 값은 총액을 선택한다.

피봇 테이블 편집기
피봇 테이블 편집기

우리가 원하는 건 월별로 총금액을 알고 싶은 거라서 날짜 중에 아무거나 우클릭해서 피봇 날짜 그룹 만들기 > 년-월 을 선택한다.

피봇 날짜 그룹 만들기
피봇 날짜 그룹 만들기

아래와 같이 월별로 종목마다 총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피봇테이블
피봇테이블

3. 마무리

샘플로 생성한 피봇 테이블은 여기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분기별로 관심 종목을 다시 만들고 회고한 후 투자 계획을 다시 세우는 편이다. 한 분기 동안 어떻게 투자를 진행했는지 쉽게 알 수 있어서, 다음 분기에는 투자 비율을 어떻게 가져갈지 더 전략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듯하다.

@Frank Oh
안녕하세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 스터디하면서 배운 것들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