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
1. 장점
-
저비용이다
-
연금계좌로는 아무런 수수료나 보수를 떼지 않는다
- 중도 인출, 펀드 변경을 해도 수수료 가 없다
- 내가 선택한 펀드에 따라 펀드 공유의 보수만 나간다
-
- 세제 해택
- 연간 납입한 금액 중 일정 금액 이하의 금액에 대해서는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적극적인 자산 관리
- 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
자유로운 저축 방식
- 저축에 대한 주기, 금액에 대한 강제사항이 전혀 없다
2. 단점
- 투자는 손실 발생할 수 있다
-
낮은 안정감
- 오랜 기간 기장에 투자를 하는 거라 여러 변동이 있어도 견딜 수 있어야 하는 부담감이 있다
-
관리자가 없다
- 내 스스로 선택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다
연금 저축에서 매매할 수 있는 종목
1. 가능한 종목
-
펀드: 채권형, 주식형, 혼합형, 해외, 섹터, 자산배분
- 증권사별로 연금펀드의 라인업이 다르다
-
ETF (파생제외)
-
증권사별로 다 동일하다
- 증권사와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하는 것이라서 어느 증권사를 선택해도 동일하다
- 보수만 보아도 ETF가 펀드보다 훨씬 저렴하다
- IRP와 비표해서 연금저축이 선택할 수 있는 ETF의 개수가 더 많다
-
IRP와 비교하면 연금저축에서 더 많은 ETF를 살 수 있다
- IRP에서는
선물
,합성
붙어 있는 것도 매매할 수 없다
- IRP에서는
-
-
TDF
- 리밸런싱까지 해줌
-
현금
- MMF
2. 가능하지 않은 종목
-
파생형 ETF X
- 레버리지나 인버스처럼 파생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펀드나 ETF는 매수할 수 없다
- 개별주식 X
- 해외주식 X
- 개별채권 X
- ELS X
- 증권사별로 현금보유도 허용하지 않는 곳도 있음
연금저축에서 펀드 종목 선택하기
1. ETF 종목 선택하기
- 잘 모를 때는 유명한 포트폴리오를 따라하는 것도 좋은 시작점이 될 수 있다
-
경험이 조금 더 쌓이면 분산 투자 방식으로 종목을 선택할 수 있다
- 채권, 주식, 금, 현금
-
국내주식형 ETF는 연금계좌에서 하지 말자!!
- 국내주식만 들어 있는 ETF은 원래 매매차익이 비과세이다
- 배당이 나온다고 하지만, 그것보다 매매차익이 훨씬 크다
-
아래는 일반 증권계좌에서 매매하는 것이 좋다
- ex.
KODEX200
,TIGER200
,KODEX200TR
,KODEX코스닥150
,KODEX삼성그룹
,TIGER 헬스케어
,ARIRANG고배당
- ex.
2. 다른 투자
-
포트폴리오 구성하고 하는 걸 신경쓰고 쉽지 않다면 펀드를 구매하자
- 연금 펀드를 선택하거나 리밸런싱해주는 TDF를 선택하자
- ETF보다 운영보수가 더 높은 편인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