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킷브레이커 vs 사이드카의 차이, 주가지수 폭락 시 작동하는 장치

@Frank Oh· August 10, 2024 · 11 min read

1. 개요

이번주 8월 5일 코스피와 코스닥은 11:00, 13:05 각각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했고 이어서 13:56, 14:14 서킷브레이커가 발동했다.

코스피 급락
코스피 급락

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보다 발동 기준이 높아 사례가 드문데, 이렇게 같은 날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모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였던 2020/3/13, 19일 이후 4년 5개월 만이자 역대 세 번째라고 한다.

한국 거래소는 증시 폭락의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 꼽았다.

  • 미국 경제지표 부진으로 인한 경치침체 우려 확산
  • 대형기술주 실적 부진
  • AI 과잉 투자 우려
  • 엔화 가치 급등에 따른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 과도한 반응이다
  • 미국 대선 후보 지지율 접전 (불확실성)

개인적으로 투자한 이후 처음 경험해보는 거라 많이 당황하기는 했었다. 아침에 급락하는 것을 보고 금액이 크지 않은 종목 한해서는 손절을 바로 해버렸다. 하면서도 이렇게 하는게 맞는지 솔직히 잘 모르면서 대응을 했던 것 같다.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가 뭔지 과거에는 언제 일어났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2. 사이드카 (Sidecar)

사이드카란?

사이드카는 선물 시장과 현물 시장 간의 가격 괴리가 일정 수준 이상 발생할 때, 현물 시장의 프로그램 매매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제도이다. 사이드카는 주로 프로그램 매매에 의해 시장이 급변할 때 발동되며,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유래

사이드카는 블랙 먼데이 사태를 계기로 도입된 제도로, 서킷브레이커와 함께 시장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된 장치이다. 사이드카는 선물 시장의 급격한 등락이 현물 시장의 가격에 급작스러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오토바이의 사이드카처럼 선물 시장이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현물 시장의 방향을 유도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서킷브레이커의 전단계로 볼 수 있다.

사이드카
사이드카

발동 조건

사이드카는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코스피 5%, 코스닥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이 1분 동안 지속되면 발동된다. 장개시 후 5분 전, 장 종료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하지 않고 1일 1회만 발동된다.

사이드카의 효과

사이드카가 발동하면, 선물과 현물간의 프로그램 매매가 5분 동안 중단되며, 5분 후에 자동으로 해제되어 매매가 다시 재개된다. 선물이 보통 현물보다 먼저 움직이기 때문에, 투기 세력에 의해 선물 가격이 현물과 크게 괴리되어 폭락할 때, 프로그램 매도 물량이 쏟아져 현물 지수도 폭락하는 경우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도이다.

3. 서킷브레이커 (Circuit Breaker)

서킷브레이커란?

서킷브레이커는 주식 시장 전체에서 일정 비율 이상의 급격한 주가 변동이 발생할 때 모든 주식 거래를 일정 시간 동안 중단하는 제도이다. 주로 시장이 급락할 때 발동되며, 시장의 패닉을 방지하고 투자자들이 시장 상황을 이성적으로 재평가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유래

서킷브래에커라는 용어는 원래 전기공학에서 사용되던 개념에서 유래했다. 전기 서킷브레이커는 전기 회로에서 과부하나 단락(쇼트)이 발생할 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장치이다. 주식 시장에서도 이와 비슷한 원리로 주가의 급락한 변동으로 인한 시장 혼란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1987/10/19 블랙 먼데이 사태 때 뉴욕증시 다우 지수가 2,200 → 1,700선으로 약 22.6% 급락하자, 뉴욕증권거래소는 이를 막기 위해 처음으로 해당 제도를 도입했다. 이후 이 제도가 증시 폭락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임이 입증되면서, 여러 국가에서 채택되었다.

서킷브레이커
서킷브레이커

서킷브레이커의 발동 조건 및 효과

서킷브레이커는 보통 주가 지수가 급격히 하락할 때 발동되며, 1단계, 2단계, 3단계로 나뉘어 발동된다. 단계별로 1일 1회만 발동된다

1, 2단계

  • 조건

    • 1단계: 주가 지수가 전일 대비 8%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될 때 발동된다
    • 2단계: 주가 지수가 전일 대비 15%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될 때 발동된다
    • 1~2 단계는 14:50 이후 발동하지 않는다
  • 조치

    • 모든 주식 거래가 20분동안 정지 후 10분간 단일가매매가 가능하다

3단계

  • 조건

    • 주가 지수가 전일 대비 20%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될 때 발동된다
    • 3단계는 15:20 이후 발동하지 않는다
  • 조치

    • 해당 거래일 동안 모든 주식 거래가 조기 종료된다

서킷브레이커는 시장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고, 투자자들에게 대응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시장의 안정을 도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역대 서킷브레이커 발동

과거 서킷브레이커 발동 사례들을 보면, 대부분 미국 시장에서 일어난 사건이 대부분이다. 이는 글로벌 경제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한국과 같은 수출 중심의 경제에서는 해외 주요 시장의 변동성이 국내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미국 시장의 움직임을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언제 시장 이유
2000/4/17 코스피 미국의 IT 버블 붕괴
2000/9/18 코스피 미국증시 하락, 유가급등
2001/9/12 코스피 911테러
2006/1/23 코스닥 미국증시 하락
20007/8/16 코스닥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2008/10/23 코스닥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2008/10/24 코스닥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2011/8/8 코스닥 미국 신용등급 하락
2011/8/9 코스닥 미국 신용등급 하락
2016/2/12 코스닥 글로벌 경기침체
2020/3/13 코스피/코스닥 코로나 사태
2020/3/19 코스피/코스닥 코로나 사태
2024/8/5 코스피/코스닥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4. 마무리

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는 주식 시장에서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에게 냉정하게 시장을 평가할 시간을 제공하는 중요한 안전장치이다. 이번 주 발동 사례를 통해, 스터디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시 한번 주식 시장은 배우게 너무 많아서 재미가 있으면서도 어려운 분야가 아닌가 싶다.

5. 참고

@Frank Oh
안녕하세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 스터디하면서 배운 것들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