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환전시 증권사 vs 은행권 어디가 좋을까요

@Frank Oh· May 30, 2024 · 10 min read

1. 개요

한국 증권사에서 미국 주식을 사려면, 일반적으로 먼저 달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달러를 사려면,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달러를 사서 미국 주식을 사면 된다.

  • 은행 달러 환전 → 증권사로 이체 (수수료 발생할 수 있음) → 증권 계좌에서 미국 주식 매수
  • (or) 증권사에서 달러 환전 → 증권 계좌에서 미국 주식 매수

1.1 환전 수수료, 환전 우대율

달러를 사고팔 때는 환전 수수료(환율 스프레드)가 붙게 된다. 은행, 증권사마다 환전 수수료를 할인해 주는 우대율이 조금씩 다르다. 용어 정리를 위해 환전 수수료와 우대율에 대해서 알아보자.

예.

  • 매매기준율 : 1070.00원, 현찰 살 때 환율 : 1088.73원
  • 환전수수료: 1% → 18.73원 (은행이 가져가는 수익)
  • 환율 우대율: 90%

    • 환율 우대시 적용환율: 1086.85원
    • 18.73 x 0.9 = 16.857원 만큼의 수수료 할인을 받아 실제로 18.73원 대신 1.873원을 은행에서 가져간다

용어

  • 환전 수수료

    • 은행 자체적으로 정한 매매 기준율과 외국환 중개소에서 계산한 매매 기준율의 차이로 은행이 고객들에게 달러를 사고팔면서 얻는 이익이다. 즉, 은행에서 가져가는 수익이다
  • 환율 우대율

    • 은행이 원래 가지려 했던 환전 수수료를 90% 할인해 주고 10%만 가져가겠다는 의미이다

1.2 은행 vs 증권사 우대율

우리 입장에서는 최고로 우대율이 높은 곳을 선택해서 환전하는 게 좋다. 은행별로 환전 수수료는 은행별 주요통화 인터넷환전 수수료 우대율 비교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고 개인마다 주거래 은행인지, 또 은행 앱을 사용해서 환전하는지에 따라서 우대율이 달라진다. 잘 고려하면 최대로 높은 수수료 우대율을 받을 수 있는 곳에서 환전하면 된다.

은행뿐만이 아니라 환전은 증권사에서도 가능하다. 은행 vs 증권사 중에서 환전 적율은 다음과 같다. 개인마다 은행, 증권사에서 얻을 수 있는 우대율이 다를 수 있으니 확인하고 환전할 필요가 있다.

  • 미래에셋 증권: 1,384.60원
  • 한국투자 증권: 1,372.47원
  • 국민은행: 1,368.29원 ← 나의 경우에는 이게 제일 좋음
  • 신한은행: 1,368.39원
  • 우리은행: 1,370.40원

(2024.5.25 업데이트) 모든 증권사, 은행에 대한 환전율을 확인하기 어려워서 제가 가지고 있는 계정 위주로 확인해 보았습니다.

적용 환율을 보면 증권사보다는 은행에서 달러 환전을 하는 게 좋고 저의 경우 국민은행에서 환전하는 게 제일 베스트 선택이다.

달러는 은행에서 증권사로 이체하는 경우에는 수수료가 붙을 수 있는데, 다행히 미래에셋에서는 연결된 은행 (ex. 하나, 국민은행 지원) 등록하면 수수료 없이 은행 → 증권사로 달러 이체가 가능하다.

그래서 저는 국민은행에서 달러 환전해서 미래에셋으로 이체해서 미국 주식을 사고 있다.

2. 국민은행에서 환전해서 미래에셋으로 달러 이체하기

국민은행에서 달러 환전해서 미래에셋에서 어떻게 달러를 이체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2.1 미래에셋에서 은행계좌 연결하기

은행 계좌 등록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M-STOCK 이용가이드] 외화연계계좌 등록

  • 검색: 외화연계계좌 > 외화연계계좌 등록/해지 선택 > 미국 주식을 하는 계좌 선택 > 금융기관 선택 (ex. 국민은행) > 등록 버튼 클릭
  • 등록후 외화연계계좌번호 확인 ← 은행에서 이 계좌로 이체할거라서 화면으로 챕쳐를 하던지 계좌번호를 적어두자

2.2 국민은행 → 미래에셋으로 이체하기

이제 국민 은행에서 어떻게 미래에셋으로 달러를 이체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큰 틀에서 보면 아래와 같은 절차로 이체를 하면 된다.

  • 국민은행

    • 외화머니박스에 달러 환전
    • 외화머니박스 → 외화통장으로 이체하기
    • 외화이체로 국민은행 → 미래에셋 가상계좌로 이체를 하면 된다
  • 미래에셋 주식 계좌에서 예수금 확인하면 된다

2.2.1 외화머니박스로 달러 환전하기

  • 메뉴에서 외환 > 환전 > 환전신청 클릭하고 외화머니박스에 입금하기 를 선택한다
  • 환전하려는 달러를 입력하고 환전예상금액 확인 버튼을 클릭해서 환전예상 금액을 확인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한다

외화머니박스로 달러 환전하기
외화머니박스로 달러 환전하기

2.2.2 외화통장으로 이체하기

환전 신청이 완료되면 거래내역조회에서 수령 대기 중인 달러를 확인할 수 있다. 외화예금입금 버튼을 클릭해서 예금계좌로 입금을 한다.

외화통장으로 이체하기
외화통장으로 이체하기

2.2.3 외화계좌 (국민은행) → 외화계좌 (미래에셋)으로 이체하기

마지막 단계로 메뉴에서 외환 > 국내외화이체/예금입출금 > 외화이체/예금입출금 선택해서 미래에셋 증권사로 달러를 보내보자.

이체구분에서 KB국민은행 이체로 선택하고 이체방식은 외화계좌 > 외화계좌 선택한다

입금계좌 정보에서 자주 쓰는 계좌 클릭해서 미래에셋 연동한 가상계좌를 등록 후 등록한 계좌를 선택한다.

외화계좌 (국민은행) → 외화계좌 (미래에셋)
외화계좌 (국민은행) → 외화계좌 (미래에셋)

받는 분 통장 표시에는 영문으로 이름을 입력, 이체할 달러도 입력하고 이체 완료 메시지가 나 올때까지 다음 버튼을 클릭한다.

입금계좌 정보 입력하기
입금계좌 정보 입력하기

2.3 미래에셋에서 이체한 달러금액 확인하기

MTS 메뉴에서 자산뱅킹 > 환전/외화 > 외화이체내역을 클릭하면 이체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체한 달러금액 확인하기
이체한 달러금액 확인하기

3. 마무리

여행 갈 때만 달러로 환전을 해봤는데, 미국 주식을 시작하면서 환전 달인?이 되어가는 듯하다. 딱 한 번만 환전 방식을 구축해 두면 미국 주식도 쉽게 쉽게 매매할 수가 있다. 달러 환전한 것도 증권사에서 높은 이자율을 가진 RP나 채권으로도 예금처럼 돈을 굴릴 수도 있다. 이건 다음 시간에 알아보자.

참고

@Frank Oh
안녕하세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 스터디하면서 배운 것들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